AI로 영유아 발달장애 진단기술 내놓는다

입력
수정2020.11.19. 오후 1:55
기사원문
이준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ETRI, 비언어적 반응과 언어행동 패턴 등 분석

언택트 인공지능 기술로 자폐스펙트럼 장애 선별


ETRI는 영유아·아동의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 진단하기 위한 AI 기술과 콘텐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사진은 자폐스펙트럼장에 선별을 위해 개발하고 있는 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를 위한 영상 콘텐츠의 한 장면.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조기에 진단하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영유아·아동의 발달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반응 심리인지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서번트 증후군 등 자폐 범주성 장애를 통칭하는 것으로, 의사 소통과 상호작용 기술이 부족하하고,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 특성을 분석해 발견한다. 하지만, 증상 발견에서 실제 진단까지 최소 2년에서 최대 9년이 걸린다.

연구팀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양한 패턴을 AI로 자동 분석해 증상을 찾아낼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영유아의 시선, 표정, 몸짓, 발성 등 비언어적 반응과 언어행동 패턴, 반복적 행동 특성 등을 인지·분석하는 '복합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게 핵심이다.

이 기술이 개발되면 유아원이나 보육시설, 발달장애센터, 일반가정 등에서 영유아 영상 촬영을 통해 보다 쉽게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 GIST(광주과학기술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 공동연구기관과 협력해 자폐스펙트럼장애 관찰 검사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아울러, 영유아의 반응, 모방 행동, 눈맞춤 등 영상 콘텐츠를 통해 영유아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하는 '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유장희 ETRI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박사는 "인간 중심의 연구를 통해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따뜻한 언택트 AI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ETRI는 최근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서울 센터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을 위한 '리빙랩' 개소식을 가졌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ETRI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을 위해 개발하고 있는 '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를 시연하고 있다. 흥미 있는 콘텐츠 등을 보여줬을 때 영유아의 반응, 행동 등을 분석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ETRI 제공


디지털타임스 채널 구독 / 뉴스스탠드 구독
디지털타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기자 프로필

과학기술과 스타트업, 중소기업 분야 등에서 새로운 가치와 통찰력을 전달하는 기사를 제공하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